카테고리 없음

여자 천주교 세례명별, 월별 종류와 해석 의미와 유래 총정리

즐거운 하루이구요! 2025. 4. 12. 23:50
반응형
728x170

종교를 가지게 된다는건 좋은겁니다. 그리고 종교는 천주교, 기독교, 불교가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종교의 신도를 가지고 있는 종교는 천주교와 기독교 입니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시스템 구축이 잘 되어있는 종교가 천주교 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천주교 신도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 또는 천주교의 세례명에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여성분들이 알고자 하는 여자 천주교 세례명들에 대해서 월별 종류와 그 의미르 해석해 보겠습니다. 

일단 천주교가 되면 하루를 시작할 때 기도를 드립니다. 그 기도문은 [참고링크]를 통해서 확인해보세요. 기도문이 굉장히 다양하더라구요. 이런 기도문으로 아침기도와 저녁기도 하는법이 있는데 그 기도하는법은 [참고링크] 를 통해서 확인해보시고 기도를 드려보세요. 하루의 기분이 좋아질 수 있을 듯 합니다. 기도를 드리기 전에 여성들은 세례명을 받게 되는데 그 세례명은 어떤 뜻이있는지 설명드릴게요.

여자 천주교 세례명 종류

여자 천주교 세례명 월별 종류와 해석 안내

천주교 세례명 남자, 여자 종류만 확인하러가기

1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1) 아녜스 세례명 의미: '순수한' '정결한' 이라는 의미의 라틴어입니다. 유래는 4세기경 로마의 젊은 순교 성녀이고 그녀는 로마 귀족 가문 출신으로 예수님께 자신의 정결을 바쳤습니다. 당시 황제의 아들이 그녀를 사랑했지만 거절당하자 박해를 받았고, 결국 12세의 어린나이에 순교하였습니다. 어린양은 그녀의 순결을 상징하면서 기독교 미술에서도 종종 어린양과 함께 그려지곤 합니다. '축일은 1월 21일' 입니다. 

2) 마르타 세례명 의미: 여주인, 주부 라는 뜻의 아람어 입니다. 주인에서 파생되었고 유래는 예수님의 친구이면서 마리아와 나자로의 자매입니다. 이 마르타는 복음서에 등장하며, 예수님이 방문하셨을 때 분주하게 봉사했던 인물들로 실용적이면서 헌신적인 인물로 묘사되어있습니다. 그녀는 예수님께 대한 깊은 신앙을 표현하면서 당신은 그리스도시며 살아계신 하느님의 아들이십니다 라는 신앙고객으로 잘알려져 있습니다. 상징은 섬김, 봉사, 믿음이고 축일은 7월29일 입니다. 

3) 로셀리나 세례명 의미: ‘작은 장미’ 또는 ‘장미의 여인’ (rosa = 장미)입니다. 유래는 13세기 프랑스 카르투시오 수녀, 성녀 로셀리나 드 빌레뇌브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프랑스 귀족 가문 출신으로 어려서 수도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금욕과 기도에 전념하며 수도원장을 맡았고, 자비와 헌신으로 공동체를 이끌었습니다. 장미꽃은 그녀의 순결과 사랑의 상징입니다. 상징은 장미, 묵상, 관상생활을 말하고 있고, 축일은 1월 17일 입니다. 

4) 베로니카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vera icon”에서 유래되었다는 해석이 있으며, 이는 “참된 형상(True Image)”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는 십자가의 길에서 예수님의 얼굴을 수건으로 닦아드린 여인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로는 전승에 따르면,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로 가실 때, 베로니카가 자신의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렸고, 그 얼굴이 수건에 그대로 남았다고 합니다. 이 수건은 '성화의 기원'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상징은 자비, 얼굴 성화, 수건 이며, 축일은 7월 12일 (전례력에는 공식 기념일은 없으나 여러 지역에서 기념함) 입니다. 

5) 안젤라 세례명 의미: ‘천사’ 또는 ‘하느님의 사자’라는 뜻의 라틴어 “angel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리고 유래는 대표적인 성녀로는 성 안젤라 메리치가 있습니다. 또 그녀의 이야기는 15세기 이탈리아 출신으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르술라 수도회'를 창립한 인물입니다. 여성들이 사회적, 영적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교육과 수도생활을 연결했습니다. 상징은 교육, 보호, 천사의 심성을 말합니다. 축일은 1월 27일 입니다. 

6) 제노베파 세례명 의미: 게르만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성의 종족’ 또는 ‘족장의 딸’이라는 뜻 입니다. 유래는 5세기 프랑스 파리의 수호 성녀 이며, 그녀의 이야기로는 어린 시절부터 신앙심이 깊었으며, 수도 생활에 헌신했습니다. 특히 훈족 아틸라의 침략에서 파리를 기도로 지켰다고 전해지며, 파리 시민의 정신적 지주로 여겨졌습니다. 기적과 기도의 힘을 상징하는 인물입니다. 또 상징은 기도, 도시 수호, 성스러운 인내 입니다. 축일은 1월 3일 입니다. 

2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7) 이사벨라 세례명 의미: 라틴어 Elisabeth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의미는 “하느님은 나의 맹세” 또는 “하느님께 바쳐진 자” 입니다. 유래는 이사벨라라는 이름은 엘리사벳(Elizabeth)의 이탈리아어·스페인어 변형입니다. 대표 성녀로는 성녀 이사벨라 데 프랑스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이야기로는 프랑스 왕 루이 8세의 딸이자 성왕 루이 9세의 여동생으로, 왕가의 권세를 누릴 수 있었음에도 수도자처럼 가난하고 겸손한 삶을 택했습니다. 자신의 재산으로 수녀원을 설립하고 자선과 기도에 전념했습니다. 상징은 정결, 자선, 겸손 이며, 축일은 2월 26일 입니다. 

8) 베르다 세례명 의미: Berta/Bertha 고대 게르만어 “beraht”에서 유래되어 ‘밝은’, ‘찬란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Verda: 라틴어 viridis에서 유래되어 ‘푸른’, ‘생명력 있는’이라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유래로 성녀 베르타 (Saint Bertha of Kent): 영국 켄트의 왕비로, 기독교를 켄트 왕국에 전파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인물. 그리스도교가 영국에 뿌리내리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켄트의 왕과 결혼하며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영국에 들어와 수도원을 지원하고 교회를 세웠습니다. 상징은 전도, 빛, 여성 지도자고, 축일은 7월 4일이다. 

9) 아가타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agathos”에서 유래, 뜻은 “선한”, “착한”, “덕스러운”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에서는 3세기 시칠리아의 순교 성녀로 말하고 있고, 그녀의 이야기는 로마 제국의 박해 시기에 신앙을 지킨 여성으로, 기독교 신앙을 버리라는 요구를 거부하자 가혹한 고문을 당했고, 결국 순교했습니다. 특히 유방 절단의 고통을 겪으며도 신앙을 저버리지 않아 여성의 수호성인으로 여겨집니다. 유방암 환자들의 수호성녀이기도 합니다. 또 상징은 순교, 정절, 용기를 말하고, 축일은 2월 5일 입니다. 

10) 한나 세례명 의미: 히브리어 “Channah”에서 유래되어 “은혜”, “자비로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는 구약 성경의 인물, 사무엘 예언자의 어머니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아이를 갖지 못했던 한나는 눈물로 하느님께 기도하며 아이를 청했고, 아들 사무엘을 낳은 뒤 하느님께 바쳤습니다. 그녀의 기도는 성경에서 가장 아름다운 찬양 중 하나로 꼽힙니다. 신앙과 인내, 헌신의 상징입니다. 또 신약의 대응 이름으로 ‘안나(Anna)’는 같은 의미의 이름으로, 성모 마리아의 어머니로도 전해집니다. 그 상징은 기도, 헌신, 어머니의 사랑이고, 축일은 (구약 인물로 정식 축일은 없으나, 마리아의 어머니 ‘성 안나’의 축일은 7월 26일) 입니다. 

11) 요안나 세례명 의미: 히브리어 “Yohanan”에서 유래, “하느님은 은혜로우시다” 입니다. 유래는 신약 성경 루카 복음서에 나오는 여성 제자 이며, 그녀의 이야기는 헤로데의 집사 쿠자의 아내로,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믿음으로 따르며 자신의 재산을 나눠 제자들을 도운 여인. 특히 예수님의 부활을 처음으로 목격한 여성들 중 한 명으로, 부활 신앙의 증인으로 불립니다. 또 상징은 신실한 제자, 증언, 여성 제자가 있고, 축일은 5월 24일 (몇몇 교회력에 따라 다름) 이다.

3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12) 카타리나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katharos에서 유래, “순수한”, “깨끗한”이라는 뜻 이며, 유래는 여러 성녀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성녀 카타리나(알렉산드리아의 성 캐서린)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4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왕족 출신으로,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철학자. 로마 황제에게 신앙을 증명하고 수많은 철학자들과 논쟁 끝에 회심하게 만듦. 순교를 당한 뒤에도 수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상징은 순결, 지혜, 신앙적 설득력 이며, 축일: 11월 25일 입니다. 

13) 레아 세례명 의미: 히브리어로 “피곤한”, 혹은 “야생 암소”로 해석되지만, 영적 상징으로는 “헌신과 인내”를 나타내고 있고, 유래는 성경 구약의 레아(야곱의 첫 아내)와 로마의 성녀 레아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로는 로마 귀족 가문 출신으로, 남편 사망 후 모든 재산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고 수도자의 삶을 살며 금욕과 기도로 보냄. 성 히에로니모가 극찬한 여성으로 “하느님 나라를 위한 진정한 준비”의 모범 이며, 상징은 겸손, 내면의 힘, 자기 희생 이고, 축일은 3월 22일 입니다. 

14) 콜레타 세례명 의미: 니콜라(Nicholas)의 여성형 ‘콜레트’에서 유래. 뜻은 “승리한 사람”, “백성의 승리자”를 뜻합니다. 유래는 14세기 프랑스 출신 성녀 콜레타 이고, 그녀의 이야기는 프란치스코 제3회 회원으로서 엄격한 금욕과 개혁을 강조하며 여성 수도회의 쇄신을 이끈 인물. 명상과 기도를 통해 환시와 기적을 경험한 신비가로도 알려짐. 17개 수도원을 설립하며 수도 생활의 모범을 세웠습니다. 상징으로 개혁, 금욕, 기도가 있고, 축일은 3월 6일 입니다. 

15) 크리스티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Christus (그리스도)에서 유래,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 라는 뜻이고, 유래는 대표적으로 성녀 크리스티나(티레의 성 크리스티나)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3세기 이탈리아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우상 숭배를 거부하고 하느님을 섬기며 고문을 당하고 순교. 그녀의 순교는 극적인 고문과 기적적인 생존이 반복된 이야기로 유명합니다. 또 상징은 용기, 순교, 신앙의 결단력 이며, 축일은 7월 24일 입니다. 

16) 태클라 세례명 의미: 고대 그리스어로 “하느님의 영광” 또는 “하느님께 선택된 자” 라는 뜻이고, 유래는 사도 바오로의 여성 제자이자 초기 교회의 가장 유명한 여성 순교자 중 한 명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바오로의 설교를 듣고 약혼자와 세속의 삶을 포기하며 복음 전파에 헌신. 박해 속에서도 여러 기적을 통해 살아남고 끝까지 신앙을 지킴. 전승에 따르면 스스로 동굴에 은둔하여 기도하며 살다 세상을 떠났습니다. 상징은 여성 사도, 순교, 헌신 이며, 축일은 9월 23일 입니다. 

17) 프란치스카 세례명 의미: 라틴어 Franciscus에서 유래, “자유로운 자”, “프랑크족의 여인” 이란 뜻이고, 유래는  14세기 로마 귀족 출신 성녀 프란치스카 로마나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결혼한 여성이자 세 자녀의 어머니였지만 남편과 함께 가난한 자를 돌보는 데 인생을 헌신. 병자 돌봄과 자선에 적극적이었으며, 남편 사후에는 여성 수도회를 설립해 공동생활을 이끌었습니다. 상징은 가정의 성인, 자선, 병자 돌봄 이며, 축일은 3월 9일 입니다. 

4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18) 소피아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Σοφία (Sophia), 뜻은 “지혜” 입니다. 유래는 성녀 소피아와 그녀의 세 딸들 (신앙, 희망, 사랑 – Pistis, Elpis, Agape)이 있고, 그녀의 이야기는 2세기 로마에서 신앙, 희망, 사랑이라는 이름을 가진 세 딸과 함께 신앙생활을 하던 어머니 소피아는, 황제 하드리아누스 시절 박해 속에서 세 딸이 잔혹한 고문 끝에 순교하는 것을 지켜보며 끝까지 신앙을 저버리지 않음. 딸들을 묻은 후 3일 만에 고통 속에서 사망했습니다. 상징은 지혜, 믿음, 모성적 헌신 입니다. 축일은 9월 30일 (또는 5월 15일 – 교파마다 다름) 입니다. 

19) 아나스타시아 세례명 의미: 이름 의미: 그리스어 Anástasis에서 유래, 뜻은 “부활”, “되살아남” 입니다. 유래는 성녀 아나스타시아 로마나 (부활의 성녀 아나스타시아) 이며, 그녀의 이야기는 로마 귀족 출신으로, 초기 그리스도교 박해 시기(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에 감옥에 갇힌 신자들을 돌보고 위로함. 불에 태워 순교했으며, ‘약제사’로도 불리며 병자들을 위한 전구자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상징은 부활, 고난 중 위로, 치유 이고, 축일은 12월 25일 입니다. 

20) 율리아 세례명 의미: 라틴어 Iulia 또는 Julia에서 유래, 뜻은 “젊음”, “부드러운 털을 지닌”, 또는 “율리우스 가문 출신의 여인”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는 성녀 율리아(카르타고의 성 율리아)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로는 북아프리카에서 노예로 팔려간 기독교 여성. 주인의 배를 타고 가던 중, 이교 축제에서 제물로 바쳐질 것을 거부하고 십자가형을 당하였습니다. 그리고 고문을 당하면서도 신앙을 버리지 않고 주님께 충실했던 모습이 큰 감동을 주었습니다. 상징은 신앙의 충실함, 고난 중 순결을 가지고 있고, 축일은 5월 23일 입니다. 

21) 데오도라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Θεοδώρα (Theodora), 뜻은 “하느님의 선물” (Theo = 하느님, dora = 선물)이란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는 같은 이름의 여러 성녀가 있음. 대표적으로 성녀 데오도라 (4세기 로마)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그리스도교 신자였던 귀족 여성으로, 남자 형제와 함께 신앙을 증언하다가 박해를 받아 순교함. 순교자의 언니 혹은 동료로 등장하는 경우도 많고, 이집트나 시리아의 수도생활 전통에서도 ‘데오도라’는 자주 등장 합니다. 상징은 하느님의 선물, 순교의 증언을 가지고 있고, 축일은 9월 11일 (성녀 데오도라와 동생 디오메데스) 등 입니다. 

22) 갈라타 세례명 의미: 이름 의미: 그리스어 Galateia, 뜻은 “젖빛 피부의 여자” 또는 “희고 아름다운 여성”을 뜻하고 있고, 유래는 초기 그리스도교 성녀 중에는 성녀 갈라 (Saint Galla)로 전해지는 이가 있습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성녀 갈라(로마의 귀족 미망인)는 6세기경 로마에서 활동한 자선가이자 기도자. 남편을 잃은 후 수도원 근처에 거주하며 병자들을 돌보며 신앙생활에 헌신함. 성 그레고리오 1세 교황이 그녀의 경건한 삶을 칭송하고 있습니다. 상징은 경건한 삶, 기도, 자선 이며, 축일은 10월 5일 입니다. 

5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23) 리타 세례명 의미: 라틴어 Margarita의 축약형으로 “진주”를 뜻하고 있고, 대표 성녀로 성녀 리타(Rita of Cascia)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이탈리아 움브리아 출신. 불행한 결혼생활 후 남편이 암살되었지만 원수를 용서함. 후에 아우구스티노 수녀회에 입회해 고통과 기도의 삶을 살았으며, 이마에 예수의 가시관 상처를 받는 신비체험을 함. ‘불가능한 것을 위한 수호성인’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상징은 용서, 인내, 고통 속 사랑이고, 축일은 5월 22일 입니다. 

24) 베르타 세례명 의미: 게르만어에서 유래, “빛나는”, “밝은”을 뜻하고 있고, 그녀의 이야기는 프랑크 왕국의 공주이자 켄트 왕국 왕비. 비기독교인 왕을 설득해 영국에 기독교 전파를 도왔으며, 훗날 성 아우구스티노가 영국에 선교 올 때 기반을 닦아줬습니다. 상징은 빛, 복음의 문을 연 여인이라 합니다. 축일은 7월 4일 입니다. 

25) 수산나 세례명 의미: 히브리어 Shoshannah, 뜻은 “백합” 입니다. 대표 성녀: 성녀 수산나 (초기 순교자)라고 하며, 그녀의 이야기는 로마 귀족 출신.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시기, 황제가 그녀를 황실 사람과 결혼시키려 했지만 이를 거절하고 신앙을 지켜 참수되었습니다. 상징은 순결, 고귀한 신앙 입니다. 그리고 축일은 8월 11일 입니다. 

26) 요안나 세례명 의미: 히브리어 Yohananah, “하느님은 은혜로우시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대표 성녀: 복음서에 등장하는 요안나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루카 복음 8장에 등장. 헤로데의 청지기 쿠사의 아내로, 예수님의 공생활을 도우며 물질적으로 지원한 여인 중 한 명. 예수님의 부활 소식을 처음 알게 된 여인 중 한 사람 입니다. 상징으로 헌신, 부활의 증인 이고, 축일은 5월 24일 입니다. 

27) 유스티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Justus에서 유래, 뜻은 “정의로운” 을 말하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유스티나(Padua 또는 안티오키아의 유스티나)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전승에 따르면 마법사였던 성 키프리아노가 회심하게 된 계기가 된 여성. 악마의 유혹에도 굴하지 않은 순결의 상징. 박해 시기 순교하였습니다. 상징은 정결, 유혹에 대한 승리 입니다. 축일은 10월 7일 입니다. 

28) 젬마 세례명 의미: 라틴어 Gemma, “보석” 이라는 뜻이고, 대표 성녀: 성녀 젬마 갈가니(Gemma Galgani)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19세기 이탈리아 여성. 신비체험과 고통의 삶을 통해 예수의 수난에 깊이 일치함. 성흔을 받았으며, 어린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나 깊은 영성을 지녔습니다. 상징은 고통의 신비, 성흔, 겸손 입니다. 또 축일은 4월 11일 입니다. 

29) 헬레나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Helene, 뜻은 “횃불”, “빛나는 자” 라는 뜻입니다. 대표 성녀: 성녀 헬레나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이고, 그녀의 이야기는 예루살렘을 순례하며 성 십자가를 발견한 인물로 유명. 교회를 세우고 성지를 보호하는 데 헌신했으며, 후기 기독교의 부흥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상징으로 성지, 신앙의 모후 이고, 축일은 8월 18일 입니다. 

30) 보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Bona, “좋은”, “선한” 뜻을 가지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보나(Bona of Pisa) 입니다. 또 그녀의 이야기는 12세기 이탈리아 피사 출신. 성지 순례자들을 인도하며 순례 안내자로 헌신. 사도 야고보 무덤으로 9번이나 순례함. 여행자의 수호성인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상징은 순례, 선함, 봉사를 말하고, 축일은 5월 29일 입니다. 

6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31) 아퀼리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Aquilinus, “독수리의” 또는 “독수리처럼 강한” 뜻이 있습니다. 대표 성녀: 성녀 아퀼리나 (Saint Aquillina of Byblos)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로 4세기경, 레바논 비블로스 출신으로, 성녀 아퀼리나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로마 황제의 박해에서 순교함. 박해 중에도 신앙을 저버리지 않고 끝까지 견뎌낸 순교자로 유명 합니다. 상징은 신앙의 강함, 순교 이고, 축일은 4월 30일 입니다. 

32) 엠마 세례명 의미: 독일어에서 유래, Ermengarde 또는 Emmeline에서 온 이름으로 “전체적”, “우수한”을 뜻하고 있습니다. 대표 성녀: 성녀 엠마 (Saint Emma of Belgium)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로 10세기 벨기에에서 태어난 엠마는 귀족 출신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선을 베풀며 기독교 신앙을 실천했다. 남편이 죽은 후 수도원에서 평화롭고 고요한 삶을 살아갔으며, 그 후 여러 기적들이 그녀의 이름 아래 발생하였습니다. 상징은 자선, 신앙의 실천을 말하며, 축일은 12월 19일 입니다. 

33) 유디트 세례명 의미: 히브리어 Yehudit, 뜻은 “유대인 여인” 또는 “찬양받는 여인”을 뜻하고 있습니다. 대표 성녀: 성녀 유디트 (구약의 유디트) 이며, 그녀의 이야기는 구약 성경에 등장하는 유디트는 유대 민족을 구한 영웅적인 여성입니다. 그녀는 악명 높은 아시리아의 장군 홀로페르네스를 유혹하여 그를 처치한 뒤, 민족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유디트의 이야기는 여성의 용기와 신앙을 강조하는 성경 속 중요한 에피소드 중 하나입니다. 상징으로 용기, 민족 구원 이며, 축일은 12월 14일 입니다. 

34) 유스티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Justus에서 유래, 뜻은 “정의로운” 을 말하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유스티나(Padua 또는 안티오키아의 유스티나)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전승에 따르면 마법사였던 성 키프리아노가 회심하게 된 계기가 된 여성. 악마의 유혹에도 굴하지 않은 순결의 상징. 박해 시기 순교하였습니다. 상징은 정결, 유혹에 대한 승리와 정의 입니다. 축일은 10월 7일 입니다. 

35) 루치아 세례명 의미: 라틴어 Lux, 뜻은 “빛” 을 뜻하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루치아 (Saint Lucia of Syracuse)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4세기 시칠리아의 성녀 루치아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여성 성인입니다. 그녀는 성모 마리아에게 헌신하며, 자신의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후에 신앙을 이유로 순교하게 되며, 그녀의 순교는 많은 이들에게 빛과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상징으로 빛, 순교, 신앙을 말합니다. 축일은 12월 13일 입니다. 

36) 마르첼라 세례명 의미: 라틴어 Marcellus에서 유래, “작은 전쟁” 또는 “전쟁의 왕”을 뜻하고 있습니다. 대표 성녀: 성녀 마르첼리나 (Saint Marcellina of Milan) 이고, 그녀의 이야기는 밀라노 출신의 성녀 마르첼리나는 신앙을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견디며, 그녀의 신앙은 후에 성 어거스틴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성녀 마르첼리나는 밀라노의 교회를 이끌며 많은 사람들에게 신앙을 전파했고, 이후 순교자로 기억됩니다. 상징은 신앙의 지도자, 겸손, 순교를 말합니다. 축일은 7월 17일 입니다. 

37) 디냐 세례명 의미: 라틴어 Digna, 뜻은 “존경할 만한”, “가치 있는” 뜻을 가지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디냐 (Saint Digna of Carthage)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 활동한 성녀 디냐는 순교자로서 신앙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맞이한 여성입니다. 그녀는 성녀 페트로니야와 함께 신앙을 지키기 위해 고문을 받으며 순교하였습니다. 또 상징으로 순교, 신앙의 가치 이며, 축일은 1월 27일 입니다. 

7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38) 베로니카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vera icon”에서 유래되었다는 해석이 있으며, 이는 “참된 형상(True Image)”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는 십자가의 길에서 예수님의 얼굴을 수건으로 닦아드린 여인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로는 전승에 따르면, 예수님이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로 가실 때, 베로니카가 자신의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렸고, 그 얼굴이 수건에 그대로 남았다고 합니다. 이 수건은 '성화의 기원'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상징은 자비, 얼굴 성화, 수건 이며, 축일은 7월 12일 (전례력에는 공식 기념일은 없으나 여러 지역에서 기념함) 입니다. 

39) 데레사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Therasia, "여름" 또는 "여름의 햇볕"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대표 성녀: 성녀 테레사 (Saint Teresa of Ávila)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성녀 테레사는 16세기 스페인에서 활동한 수도자로, 카르멜 수도회의 개혁을 이끌며 성스러운 삶을 실천했습니다. 그녀는 신비적인 기도와 묵상으로 유명하며, 깊은 신앙의 사람으로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또 다른 성녀 테레사는 성녀 테레사 리수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가난하고 순수한 영혼으로, 작은 일들 속에서 하느님의 사랑을 실천한 성녀입니다. 상징으로 기도, 수도 생활, 신비적인 체험이며, 축일은 10월 15일 (성녀 테레사) 입니다. 

40) 루치아 세례명 의미: 라틴어 Lux, 뜻은 “빛” 을 뜻하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루치아 (Saint Lucia of Syracuse)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4세기 시칠리아의 성녀 루치아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여성 성인입니다. 그녀는 성모 마리아에게 헌신하며, 자신의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후에 신앙을 이유로 순교하게 되며, 그녀의 순교는 많은 이들에게 빛과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상징으로 빛, 순교, 신앙을 말합니다. 축일은 12월 13일 입니다. 

41) 도미니카 세례명 의미: 라틴어 Dominicus에서 유래, "주님의" 또는 "주님의 날"이라는 뜻 이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도미니카 (Saint Dominic)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성녀 도미니카는 도미니코 수도회의 창립자로 유명한 성인으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선교 활동과 교리 교육을 통해 많은 사람들을 구원으로 이끌었습니다. 그녀는 특히 "도미니코 수도회"의 창립자로, 그 수도회는 교리 교육과 신학적 연구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상징은 교리 교육, 선교, 신앙이며, 축일은 8월 8일 입니다. 

42) 나탈리아 세례명 의미: 라틴어 Natalis, "탄생의" 또는 "성탄절에 태어난" 뜻이 이며, 대표 성녀: 성녀 나탈리아 (Saint Natalia of Nicomedia)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성녀 나탈리아는 3세기 기독교 박해 당시 순교한 여성입니다. 그녀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남편과 함께 순교하였으며, 그녀의 순교로 인해 기독교 신앙이 더욱 확산되었습니다. 나탈리아는 기독교인들의 신앙에 대한 강한 결단력을 상징합니다. 또 상징은 신앙의 결단, 순교를 말합니다. 축일은 12월 27일 입니다. 

43) 레비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Levinus, "귀한" 또는 "사랑받는" 뜻을 말합니다. 대표 성녀: 성녀 레비나 (Saint Levina)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성녀 레비나는 벨기에에서 활동한 여성 순교자로,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성녀입니다. 그녀는 당시의 박해에서 신앙을 버리지 않고 죽음을 맞이하였으며, 후에 그녀의 순교는 기독교 신앙의 강한 신뢰를 상징하는 이야기로 전해졌습니다. 상징은 순교, 신앙의 결단들이 있습니다. 또 축일은 10월 24일 입니다. 

8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44) 로사 세례명 의미: "장미" 또는 "꽃"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유래는 라틴어 "rosa"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장미는 기독교에서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는 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또 상징은 장미는 사랑, 순결, 희생을 상징합니다. 성 로사 데 리마는 페루의 성녀로, 그녀의 삶은 가난과 고독 속에서 예수님을 따르며 자비로운 사랑을 실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축일로는 8월 23일 (성 로사 데 리마 축일) 입니다. 

45) 글라라 세례명 의미: "밝은", "순수한", "명확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는 라틴어 "Clarus"에서 유래하며, 밝고 빛나는 의미를 가집니다. 성 클라라는 13세기 이탈리아의 성녀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여성 수도회인 클라라 수도회를 창립한 인물입니다. 상징으로 성 클라라는 가난과 순결의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삶은 빛과 같은 예수님의 사랑을 따르며, 어둠 속에서 신의 뜻을 밝히는 것으로 상징됩니다. 축일은 8월 11일 (성 클라라 축일) 입니다. 

46) 마리아 세례명 의미: "바다의 별", "슬픔", "고귀한"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에서 유래하며, "바다의 별" 또는 "슬픔"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성모 마리아는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로, 기독교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상징은 성모 마리아는 순수함, 사랑, 어머니의 역할을 상징하며, 그녀의 삶은 희생과 기도의 모범으로 여겨집니다. 그리고 축일은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 입니다. 

47) 레지나 세례명 의미:  "여왕"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왕"을 의미합니다. 이 이름은 성모 마리아를 "하늘의 여왕"으로 칭송할 때 사용됩니다. 상징에서는 성모 마리아를 하늘의 여왕으로 부르며, 기독교에서 마리아는 모든 신자의 어머니이자 구원의 중재자로서의 상징적 존재입니다. 축일은 8월 22일 (성모 마리아, 하늘의 여왕 대축일) 입니다. 

48) 스텔라 세례명 의미: "별"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는 라틴어 "stella"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별"을 의미합니다. 성모 마리아는 "바다의 별"로 불리며, 어두운 세상 속에서 인류를 위한 빛의 상징입니다. 또 상징은 스텔라는 빛과 희망을 상징합니다. 성모 마리아는 기독교인들에게 어두운 길을 비추는 인도자의 역할을 합니다. 축일은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 입니다. 

49) 헬레나 세례명 의미: 헬레나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Helene, 뜻은 “횃불”, “빛나는 자” 또는 태양의빛 이라는 뜻입니다. 대표 성녀: 성녀 헬레나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의 어머니) 이고, 그녀의 이야기는 예루살렘을 순례하며 성 십자가를 발견한 인물로 유명. 교회를 세우고 성지를 보호하는 데 헌신했으며, 후기 기독교의 부흥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상징으로 성 헬레나는 신앙과 헌신의 상징이며, 기독교의 초기 확산에 기여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집니다. 축일은 8월 18일 입니다. 

50) 모니카 세례명 의미: "단호한", "유쾌한"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은 라틴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단호한" 또는 "유쾌한"의 의미를 가집니다. 성 모니카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로, 아들을 기독교로 인도하기 위한 기도와 희생을 통해 기독교적 교훈을 보여주었습니다. 상징은 성 모니카는 기도의 힘, 희생, 어머니의 사랑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8월 27일 (성 모니카 축일) 입니다. 

51) 베아트릭스 세례명 의미: "행복을 가져다주는", "축복을 주는" 뜻을 가지고 있고, 유래는 라틴어 "beatus"에서 유래하여 "행복"과 "축복"을 의미합니다. 베아트릭스는 기독교에서 행복과 신의 축복을 가져다주는 인물로 여겨졌습니다. 상징은 행복, 축복, 신의 은총을 상징하는 이름입니다. 그리고 축일은 8월 29일 (성 베아트릭스 축일) 입니다. 

52) 사비나 세례명 의미: "사비니아의", "사비니 사람"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로마의 "사비니" 부족과 관련이 있습니다. 성 사비나는 2세기 순교자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인물입니다. 상징은 성 사비나는 신앙을 지키기 위한 용기와 결단력을 상징합니다. 또 축일은 8월 29일 (성 사비나 축일) 입니다. 

53) 수산나 세례명 의미: "백합", "순결" 뜻이 있습니다. 또 유래는 히브리어 "שׁוֹשַׁנָה" (Shoshannah)에서 유래하여 "백합"을 의미합니다. 성 수산나는 기독교 초기의 순교자로,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인물입니다. 그리고 상징은 순결, 신앙, 고난 속에서 신의 뜻을 따르는 삶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8월 10일 (성 수산나 축일) 입니다. 

9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54) 김효주 아녜스 세례명 의미: "순결한", "깨끗한"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Agnu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어린 양"을 의미. 성 아녜스는 초기 로마 순교 성녀로, 어린 나이에 순결을 지키며 순교한 인물입니다. 상징으로 어린 양, 순결, 신앙의 충절이 있습니다. 한국 인물로 김효주 아녜스는 1839년 기해박해 때 순교한 한국의 순교자입니다. 여성 평신도로서의 용기와 굳건한 신앙을 보여줍니다. 축일은 9월 20일 (한국 순교 성인 대축일) / 1월 21일 (서방교회 성 아녜스 축일) 입니다. 

55) 김효임 골룸바 세례명 의미: "비둘기" 라는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Columba는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를 뜻하며, 성령의 이미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초기 아일랜드의 수도자 성 콜룸바(Columba)도 유명합니다. 상징으로 성령, 평화, 순결이라는 것이 있고, 한국 인물 김효임 골롬바 역시 1839년 기해박해 순교자이며, 김효주 아녜스의 사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둘은 함께 투옥되어 신앙을 끝까지 지켰습니다. 축일은 9월 20일 (한국 순교 성인 대축일) 입니다. 

56) 레지나 세례명 의미:  "여왕"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래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왕"을 의미합니다. 이 이름은 성모 마리아를 "하늘의 여왕"으로 칭송할 때 사용됩니다. 상징에서는 성모 마리아를 하늘의 여왕으로 부르며, 기독교에서 마리아는 모든 신자의 어머니이자 구원의 중재자로서의 상징적 존재입니다. 축일은 8월 22일 (성모 마리아, 하늘의 여왕 대축일) 입니다. 

57) 디냐 세례명 의미: 라틴어 Digna, 뜻은 “존경할 만한”, “가치 있는” 뜻을 가지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디냐 (Saint Digna of Carthage)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북아프리카 카르타고에서 활동한 성녀 디냐는 순교자로서 신앙을 지키기 위해 죽음을 맞이한 여성입니다. 그녀는 성녀 페트로니야와 함께 신앙을 지키기 위해 고문을 받으며 순교하였습니다. 또 상징으로 순교, 신앙의 가치 이며, 축일은 1월 27일 입니다. 

58) 엘리사벳 세례명 의미: "하느님은 나의 맹세", "하느님의 충실한 자"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Elisheba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구약의 아론의 아내이자 신약에서는 세례자 요한의 어머니로 등장합니다. 상징으로 기도, 경건함, 어머니의 역할을 상징합니다. 또 축일은 9월 5일 (성녀 엘리사벳 축일로 기념되기도 함) / 11월 5일 (헝가리 성 엘리사벳), 11월 17일 (튀링겐의 성 엘리사벳) 입니다. 

59) 가브리엘라 세례명 의미: "하느님은 나의 힘" 이란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Gavri'el에서 유래. 천사 가브리엘의 여성형 이름으로, "하느님의 용사", "하느님의 힘"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상징은 전령(메신저), 하느님의 계시, 순명의 상징합니다. 축일은 9월 29일 (성 가브리엘 대천사 축일, 미카엘, 라파엘과 함께) 입니다. 

60) 미카엘라 세례명 의미: "누가 하느님과 같은가?"라는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Mikha’el에서 유래. 대천사 미카엘의 여성형으로, 이름 자체가 신에 대한 찬양을 나타냅니다. 상징으로 정의, 보호, 신의 군사를 상징합니다. 축일은 9월 29일 (성 미카엘 대천사 축일) 입니다. 

10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61) 안젤라 세례명 의미: ‘천사’ 또는 ‘하느님의 사자’라는 뜻의 라틴어 “angel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리고 유래는 대표적인 성녀로는 성 안젤라 메리치가 있습니다. 또 그녀의 이야기는 15세기 이탈리아 출신으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우르술라 수도회'를 창립한 인물입니다. 여성들이 사회적, 영적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교육과 수도생활을 연결했습니다. 상징은 교육, 보호, 천사의 심성을 말합니다. 축일은 1월 27일 입니다. 

62) 라우렌시아 세례명 의미: "월계수", "승리의 상징"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Laurentia에서 유래, laurus는 월계수나무를 뜻합니다. 월계수는 고대 로마에서 승리와 영광을 상징하는 식물이었습니다. 상징은 승리, 순교, 신앙의 승리를 상징합니다. 축일은 10월 5일 (성 라우렌시아 축일) 입니다. 또 성 라우렌시아는 로마의 교회 역사에서 중요한 순교자로, 월계수는 그를 대표하는 상징 중 하나입니다.

63) 사라 세례명 의미: "공주", "여왕"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Sarah에서 유래하며, "공주" 또는 "여왕"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구약성경에서 이 이름을 가진 인물은 아브라함의 아내, 이삭의 어머니인 성스러운 여성입니다. 상징은 어머니의 사랑, 신의 계획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0월 13일 (성 사라 축일) 이며, 성 사라는 신의 약속을 믿고 희생적인 삶을 살아간 믿음의 여성입니다. 또한,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그녀는 아브라함과 이삭의 모성적 사랑의 상징입니다.

64) 유스티나 세례명 의미: 라틴어 Justus에서 유래, 뜻은 “정의로운” 을 말하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유스티나(Padua 또는 안티오키아의 유스티나)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전승에 따르면 마법사였던 성 키프리아노가 회심하게 된 계기가 된 여성. 악마의 유혹에도 굴하지 않은 순결의 상징. 박해 시기 순교하였습니다. 상징은 정결, 유혹에 대한 승리 입니다. 축일은 10월 7일 입니다. 

65) 카타리나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katharos에서 유래, “순수한”, “깨끗한”이라는 뜻 이며, 유래는 여러 성녀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성녀 카타리나(알렉산드리아의 성 캐서린)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4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왕족 출신으로,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철학자. 로마 황제에게 신앙을 증명하고 수많은 철학자들과 논쟁 끝에 회심하게 만듦. 순교를 당한 뒤에도 수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상징은 순결, 지혜, 신앙적 설득력 이며, 축일: 11월 25일 입니다. 

66) 클레오파트라 세례명 의미: "하느님의 영광", "하느님의 명예" 뜻이 있고, 유래는 그리스어 Kleopatra에서 유래하며, "하느님의 영광" 또는 "하느님의 명예"를 의미합니다. 이 이름은 고대 이집트의 왕비, 클레오파트라와 관련이 있으나, 기독교 성인명으로 널리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또 상징으로 권력, 지도력, 충성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특정한 기독교 축일은 없으나, 고대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와 관련된 여러 문화적, 역사적 상징들이 있습니다.

67) 로사리아 세례명 의미: "장미의", "장미꽃" 뜻이 있습니다. 유래는 라틴어 rosarium에서 유래하며, "장미" 또는 "장미꽃"을 의미합니다. 성 로사리아는 "장미의 향기"와 같이, 기독교 신앙에서 순수함과 사랑을 상징하는 이름입니다. 상징으로 순수, 사랑, 신의 은총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0월 4일 (성 로사리아 축일) 입니다. 성 로사리아는 순결과 사랑을 상징하는 성녀로, 14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살았습니다.

68) 데레사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Therasia, "여름" 또는 "여름의 햇볕"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대표 성녀: 성녀 테레사 (Saint Teresa of Ávila)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성녀 테레사는 16세기 스페인에서 활동한 수도자로, 카르멜 수도회의 개혁을 이끌며 성스러운 삶을 실천했습니다. 그녀는 신비적인 기도와 묵상으로 유명하며, 깊은 신앙의 사람으로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또 다른 성녀 테레사는 성녀 테레사 리수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가난하고 순수한 영혼으로, 작은 일들 속에서 하느님의 사랑을 실천한 성녀입니다. 상징으로 기도, 수도 생활, 신비적인 체험이며, 축일은 10월 15일 (성녀 테레사) 입니다. 

11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69) 실비아 세례명 의미: "숲의", "숲의 여신" 뜻이 있습니다. 유래는 라틴어 silva에서 유래하며, "숲" 또는 "숲의 여신"을 의미합니다. 실비아는 자연과 숲을 상징하는 이름으로, 고대 로마 신화에서도 숲의 여신이 등장합니다. 상징으로 자연, 평화, 보호를 상징합니다. 축일은 11월 3일 (성 실비아 축일) 입니다. 성 실비아는 초대 교회의 성녀로, 전통적으로 순교자나 교회의 중요한 여성 성인으로 여겨집니다.

70) 카타리나 세례명 의미: 그리스어 katharos에서 유래, “순수한”, “깨끗한”이라는 뜻 이며, 유래는 여러 성녀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성녀 카타리나(알렉산드리아의 성 캐서린)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4세기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왕족 출신으로, 지성과 미모를 겸비한 철학자. 로마 황제에게 신앙을 증명하고 수많은 철학자들과 논쟁 끝에 회심하게 만듦. 순교를 당한 뒤에도 수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았습니다. 상징은 순결, 지혜, 신앙적 설득력 이며, 축일: 11월 25일 입니다. 

71) 라헬 세례명 의미: "양", "어린 양"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Rahel에서 유래하며, "양" 또는 "어린 양"을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라헬은 야곱의 아내로, 깊은 사랑을 상징하는 인물입니다. 상징은 어머니의 사랑, 신의 은총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1월 4일 (성 라헬 축일) 입니다. 성 라헬은 구약에서 중요한 인물로, 기독교에서도 인내와 신앙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72) 카리나 세례명 의미: "사랑스러운", "친절한"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Carina에서 유래하며, "사랑스러운" 또는 "친절한"이라는 뜻을 지닙니다. 카리나는 사랑과 친절을 상징하는 이름으로, 신앙과 관련이 깊습니다. 상징은 사랑, 친절, 섬김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카리나라는 이름을 가진 성인들은 기독교 전통에서는 드물지만, 이름의 의미로부터 사랑과 친절의 실천을 상징합니다.

73) 엘리사벳 세례명 의미: "하느님은 나의 맹세", "하느님의 충실한 자"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Elisheba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구약의 아론의 아내이자 신약에서는 세례자 요한의 어머니로 등장합니다. 상징으로 기도, 경건함, 어머니의 역할을 상징합니다. 또 축일은 9월 5일 (성녀 엘리사벳 축일로 기념되기도 함) / 11월 5일 (헝가리 성 엘리사벳), 11월 17일 (튀링겐의 성 엘리사벳) 입니다. 

74) 플로라 세례명 의미: "꽃", "꽃을 피우는" 뜻이 있고, 유래은 라틴어 Flora에서 유래하며, "꽃", "꽃을 피우는"이라는 뜻을 지닙니다. 플로라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상징하는 이름입니다. 상징은 아름다움, 자연, 생명력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1월 4일 (성 플로라 축일) 입니다. 성 플로라는 4세기 순교자로,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신앙의 힘을 강조하는 상징적인 인물입니다.

75) 드보라 세례명 의미: "벌", "여왕" 뜻이 있고, 유래는 히브리어 D’vorah에서 유래하며, "벌" 또는 "여왕"을 의미합니다. 구약성경에서 드보라는 이스라엘의 여선지자로, 지도력과 신앙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상징은 지도력, 신의 뜻, 지혜를 상징합니다. 축일은 11월 2일 (성 드보라 축일) 입니다. 성 드보라는 구약의 중요한 여성 지도자로, 그녀의 이야기는 신의 뜻을 따르며 정의와 신앙을 실천하는 여성 리더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76) 빅토리아 세례명 의미: "승리", "승리의 여신"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Victoria에서 유래하며, "승리" 또는 "승리의 여신"을 의미합니다. 빅토리아는 승리와 성공을 상징하는 이름으로, 로마의 승리의 여신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상징은 승리, 힘, 용기를 상징합니다. 축일은 11월 23일 (성 빅토리아 축일) 이고, 성 빅토리아는 3세기 로마의 순교자로, 신앙을 지키기 위한 승리와 용기의 상징적 인물입니다. 

12월 여자 천주교 세례명

77) 골룸바 세례명 의미: "비둘기" 뜻이며, 유래는 라틴어 Columba에서 유래하며, "비둘기"를 의미합니다. 비둘기는 성령을 상징하고, 평화와 순수함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입니다. 상징은 평화, 성령, 순결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2월 21일 (성 골룸바 축일) 입니다. 성 골룸바는 6세기 아일랜드의 수도자이며, 선교 활동과 기도에 헌신한 성인입니다. 비둘기와 관련된 이름은 그의 삶의 평화롭고 순수한 정신을 나타냅니다. 

78) 루치아 세례명 의미: 라틴어 Lux, 뜻은 “빛” 을 뜻하고 있고, 대표 성녀: 성녀 루치아 (Saint Lucia of Syracuse) 입니다. 그녀의 이야기는 4세기 시칠리아의 성녀 루치아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여성 성인입니다. 그녀는 성모 마리아에게 헌신하며, 자신의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후에 신앙을 이유로 순교하게 되며, 그녀의 순교는 많은 이들에게 빛과 희망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상징으로 빛, 순교, 신앙을 말합니다. 축일은 12월 13일 입니다. 

79) 릴리안 세례명 의미: "백합", "순결한"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Lilium에서 유래하며, "백합"을 의미합니다. 백합은 순결, 아름다움, 신성함을 상징하는 꽃으로, 성녀의 순결한 삶을 나타냅니다. 상징은 순결, 신성함, 아름다움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릴리안은 성인명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백합의 꽃과 같은 순결을 지닌 여성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신앙의 순수함을 상징합니다. 

80) 빕안나 세례명 의미: "생명", "생명력 있는"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Vibiana에서 유래하며, "생명력 있는", "생기를 주는"이라는 뜻을 지닙니다. 이 이름은 생명과 활력, 신의 은총을 의미합니다. 상징은 생명, 순교, 신앙의 충실함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2월 2일 (성 빕안나 축일) 입니다. 성 빕안나는 3세기 로마의 순교자로,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성녀입니다. 그녀의 이름은 생명과 신앙의 활력을 상징하며, 그녀의 순교는 신의 은총을 받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81) 아가페 세례명 의미: "사랑", "무조건적인 사랑" 뜻이 있습니다. 또 유래는 그리스어 Agape에서 유래하며, "사랑", 특히 무조건적이고 신성한 사랑을 의미합니다. 아가페는 기독교에서 신의 사랑을 가장 잘 나타내는 말로 사용됩니다. 상징은 사랑, 신의 은총, 희생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2월 14일 (성 아가페 축일) 입니다. 성 아가페는 기독교 초기의 순교 성녀로, 자신의 사랑과 희생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신의 사랑을 전달한 인물입니다. 그녀는 그리스도교의 "아가페" 사랑을 실천한 모범적인 여성입니다.

82) 율리아 세례명 의미:"젊은", "청춘" 뜻이 있고, 유래는 라틴어 Iulia에서 유래하며, "젊은" 또는 "청춘"을 의미합니다. 율리아는 고대 로마에서 인기 있었던 이름이며, 청춘과 활기찬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상징으로 젊음, 에너지, 생명력을 상징합니다. 축일은 12월 22일 (성 율리아 축일) 입니다. 성 율리아는 초기 교회의 성녀로, 로마에서 순교한 인물입니다. 그녀는 신앙을 위해 고난을 견뎌낸 인물로, 기독교 공동체에서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 이렇게 여자 천주교 세례명들이 굉장히 많은데[요. 남자 천주교 세례명 역시 굉장히 많습니다. [참고링크] 세례명 하나하나의 뜻과 유래 그리고 상징하는 바를 잘 확인해 본다면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명언도 담겨 있는듯 합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